ID 저장
코딩전용 로그인 [코딩전용로그인 안내]

김지예, 하은혜 (2014). 발달지체 영유아의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 군집분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265-265.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로 진단 받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DSM-Ⅳ 진단군에 따른 CBCL 1.5-5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CBCL 1.5-5 프로파일의 하위 군집을 분류하고 군집별 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방법] 종합병원 소아정신과와 재활의학센터에서 임상심리학자에 의해 발달지체로 평가된 만 1.5-5세 영유아 318명의 주 양육자가 자녀에 대해 CBCL 1.5-5 유아행동 평가척도-부모용을 작성하였다. 발달지체 영유아의 CBCL 1.5-5 프로파일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변량분석(ANOVA),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카이제곱 검증(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DSM-Ⅳ 진단군에 따른 CBCL 1.5-5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위축,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총문제행동 척도의 변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지체 영유아의 CBCL 1.5-5 프로파일을 군집분석하여 3개의 군집을 추출하였고, 이를 DSM-Ⅳ 진단군별로 CBCL 1.5-5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하위 군집명을 결정하였다. 군집 1은 ‘의사소통장애 군집’으로 모든 문제행동증후군 척도가 정상범위(60T점 이하)를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위축 척도만이 55T점 이상으로 높은 집단이다. 군집 2는 ‘발달지체 군집’으로 위축과 주의집중문제를 주로 나타냈으며(60T점 이상), 총문제행동, 외현화/내재화 문제 척도는 준임상범위(60-63T점)인 집단이다. 군집 3은 ‘전반적 발달장애 군집’으로 다른 군집에 비해 가장 광범위한 측면에서 높은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인 가운데, 총문제행동, 외현화/내재화 문제, 위축, 공격행동, 정서적 반응성 주의집중문제 척도는 임상범위(70T점 이상), 불안/우울 척도는 준임상범위(65T점 이상)를 나타낸 집단이다. 하위 군집에 따른 CBCL 1.5-5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와 DSM-Ⅳ 진단군 분포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모든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에서 군집 간 변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DSM-Ⅳ 진단군 분포에서 군집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개인정보취급방침이용약관